경기도 민생특사경, 무허가 위험물 저장 등 제약회사 불법행위 13건 적발

위험물 무허가 장소 저장 12건, 위험물 저장․취급 기준 위반 1건, 행정지도 47건

성남N | 기사입력 2023/05/24 [12:33]

경기도 민생특사경, 무허가 위험물 저장 등 제약회사 불법행위 13건 적발

위험물 무허가 장소 저장 12건, 위험물 저장․취급 기준 위반 1건, 행정지도 47건

성남N | 입력 : 2023/05/24 [12:33]

 

 

지정수량의 30배를 초과하는 위험물을 불법 저장하거나 동일한 장소에 저장할 수 없는 위험물을 함께 저장하는 등 제약회사 내 불법행위가 경기도 민생특별사법경찰단에 대거 적발됐다.

 

경기도 민생특별사법경찰단은 지난 2월 6일부터 4월 14일까지 도내 제약회사 사업장 60개소를 대상으로 불법 위험물 저장행위 등을 수사한 결과 위험물안전관리법을 위반한 13건을 형사입건했다고 24일 밝혔다.

 

위반내용은 ▲저장소 또는 제조소 등이 아닌 장소에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저장․취급한 행위 12건 ▲동일한 저장소에 저장할 수 없는 위험물을 함께 저장한 행위 1건 등 총 13건이다.

 

주요 위반사례를 보면 화성시에 위치한 A 제약업체는 지정수량 30배가 넘는 시클로헥산 등 제 4류 위험물을 허가받지 않은 장소에 저장하다가, 화성시의 다른 B 제약업체는 실험실 내 시약 보관실에 메탄올 등 제 4류 위험물을 지정수량 1.72배 저장하다 적발됐다.

 

안산시에 위치한 C 제약업체는 허가받지 않은 폐기물 보관장소에 노말헵탄 등 지정수량 10.5배에 해당하는 제 4류 위험물을 저장하다, 안산시에 위치한 다른 D 제약업체는 폭발성 등 위험성이 높아 함께 저장해서는 안 되는 에탄올(제4류 위험물)과 유황, 철분(제2류 위험물)을 함께 저장하다 적발됐다.

 

‘위험물안전관리법’에 따라 저장소 또는 제조소 등이 아닌 장소에서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저장한 업체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되고, 위험물을 혼재 저장한 업체는 1천500만 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된다.

 

홍은기 경기도 민생특별사법경찰단장은 “제약회사 특성상 위험물의 종류와 수량에 대한 사전정보 파악이 어려워 화재 발생 시에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라며 “지난해 화성에서 발생한 제약회사 폭발 사고와 같은 안타까운 피해가 발생하는 일이 없도록 관련 업체 수사를 지속하겠다”라고 말했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가장 많이 읽은 기사
성남아트센터와 정구호 연출가의 만남! 성남문화재단, 오페라‘나비부인’ / 백주희 기자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 경기도형 치유농업 발전 위한 정책연구용역 착수보고회 개최 / 성남N
경기도의회 이기인 의원 대표발의, 전국 최초의 “이상동기(묻지마) 범죄 방지 및 피해 지원에 관한 조례안” 본회의 통과 / 성남N
경기도의회 안전행정위원회, 중부고속도로 11중 추돌사고 훌륭하게 조치한 이천소방서 격려 방문 / 성남N
성남시, ‘시 승격 50주년 기념’ 기획전시 개최 / 백주희 기자
성남지역 청소대행업체, 성남시장례식협동조합 이웃 성금 기탁 / 백주희 기자
성남시자원봉사센터 조직 개편 및 최대 내부승진인사 단행 ◃ / 백주희 기자
성남시의회 의원 연구단체, 영세 상인을 위한 정책방안 마련 현장 방문 / 백주희 기자
경기도의회 이학수 의원, ‘학부모교육 제도화를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학부모교육 참여 확대 방안 필요성 강조 / 성남N
성남시의회 제285회 임시회 2차 본회의 추선미 의원 5분 자유발언 / 백주희 기자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