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세계유산 남한산성 북문 해체·보수 2년 만에 완료. 11월 1일 개방

철저한 고증을 통해 원형에 가깝게 복원

성남N | 기사입력 2023/10/31 [08:07]

경기도, 세계유산 남한산성 북문 해체·보수 2년 만에 완료. 11월 1일 개방

철저한 고증을 통해 원형에 가깝게 복원

성남N | 입력 : 2023/10/31 [08:07]

○ 세계유산 남한산성 북문 해체·보수 착공 2년 만에 10월 준공, 11월 개방

- 보수기간 동안 폐쇄되었던 남한산성 북문 개방

 

▲ 남한산성 북문                                                                    © 성남N

 

경기도남한산성세계유산센터가 지난 2021년부터 시작한 남한산성 북문 해체·보수공사 완료로 11월 1일부터 남한산성 북문을 개방한다.

 

남한산성에 있는 사대문 중 하나인 남한산성 북문은 1624년(인조 2) 신축됐다. 1637년(인조 15) 병자호란 당시, 조선군들이 북문을 나서 청군을 기습공격한 후 패한 ‘법화골 전투’의 아픔이 있어 1779년(정조 3) 개축하면서 다시는 전쟁에서 패하지 말자는 의미에서 전승문(全勝門)이라 이름 붙였다.

 

이후, 한국전쟁으로 파괴됐던 문을 1979년 남한산성 보수정화 사업으로 새롭게 복원했지만, 점차 성문에 균열이 생기고 문루(門樓, 성문 위의 누각)가 기울어지는 등 문화유산과 탐방객 안전이 우려됨에 따라 2021년 25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남한산성 북문과 문루의 전면 해체·보수에 착수했다.

 

이번 공사는 가로 25m, 높이 6m의 성벽을 포함해 정면 4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문루를 동시에 해체·보수한 드문 사례에 속한다.

* 성문은 홍예문(아치형)으로 높이 3.65m, 폭 3.25m, 성벽 두께 7.1m

 

또한, 충실한 원형복원과 고증을 위한 발굴조사와 관련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해 최대한 남한산성 북문의 원형을 복원하고자 노력한 결과, 세계유산으로서의 남한산성의 진정성을 확보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김천광 경기도남한산성세계유산센터 소장은 “남한산성 북문 해체·보수가 완료돼 남한산성의 세계유산적 가치 보존과, 탐방객들의 안전성 및 편의성을 증진할 수 있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라며 “앞으로도 세계유산에 걸맞은 남한산성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가장 많이 읽은 기사
금곡공원 국민체육센터 추경 늦어져 개관 차질 / 백주희 기자
성남시, “지방세 미환급금 3억 9700만원 찾아가세요!” / 백주희 기자
성남시 ‘겨울철 안전사고 예방’ 6곳 맨발 황톳길 휴장하기로 / 백주희 기자
성남시, 2023년 감염병관리 우수사례 은상 수상 / 백주희 기자
성남시, 드림스타트 가족 작품으로 2024년 달력 제작 / 백주희 기자
신상진 성남시장, “의료와 디지털 융합의 건강한 미래... 성남에서 시작” / 백주희 기자
배우 김성녀의 1인 32역 모노드라마 / 백주희 기자
복지사각지대 제로화 위한 민·관 사례관리 네트워크 거점기관 협약(MOU) 체결 / 백주희 기자
하얀마을복지회관, 제노레이와 함께하는 ‘사랑애(愛)김장나눔’ 행사 진행 / 백주희 기자
성남시 ‘복정 어울림 빛축제’ 4년 만에 개최 / 백주희 기자
광고
광고
광고
광고